Node.js, Express 환경에서 Mongodb에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를 만들려고 한다. 검색 키워드:mongoose buffer image uploadmulter form 서버에서 파일업로드 구현 방법 참고자료:How to store images to MongoDB with Node.jsNode.js, Express 및 Mongoose를 사용하여 이미지 업로드store/display an image in mongodb using mongoose/express gistexpressjs/multer Node.js middleware for handling `multipart/form-data`.jonjenkins/express-upload express-upload: node.js, expr..
smi 확장자는 xml에서 파생되었지만, xml 규격으로 읽을수 없게 되어있다. smi를 읽을수 있는 라이브러리로 쓸만한 것도 없다. 정규식을 사용하면 기존 자막파일들에서 비교적 자주 반복되는 규칙을 이용해 파싱할 수 있다. 자바와 as3 는 정규식 함수 RegExr 를 지원한다. 컨셉: 통합자막을 타임틱 기준으로 영어 한줄, 한글 한줄씩 반복되어 나오는 text 파일로 만든다. 부분 제거 사용할 정규식 정리 에서 시작해서 가 다시 나오기 전까지를 한 블럭으로 설정 /]+?>.+?(?=^|
http://sunnydev.tistory.com/248 http://realheart.egloos.com/2550547 http://blog.naver.com/baljern?Redirect=Log&logNo=140103299838 http://www.lgservice.co.kr/cs_lg/download/SoftwareDownloadMainCmd.laf usb로 xp 설치방법 1. usb에 별도로 부트로더 설치 2. 비스타 부트로더에 xp설치파일을 낑겨넣기 3. usb안에 CD영역 만들기 보유한 USB 이동식 디스크 정리 계획 1. usb 장치별 공장 초기화 툴 준비 2. usb의 사양 기록(부팅가능, 용량 등)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혹은 인터넷의 다른 컴퓨터에서 내 컴퓨터의 토랜트 프로그램을 사용해 토랜트 파일을 받을 수 있다. 설치할 패키지 transmission-daemon (transmission-cli 가 자동으로 같이 설치됨) 고쳐야할 세팅 파일 /etc/transmission-daemon/settings.json /home/사용자계정/.config/transmission-daemon/settings.json 다운받을 폴더의 권한 설정 sudo chgrp debian-transmission /다운받을폴더 sudo chmod 777 /다운받을폴더 작업 순서 sudo apt-get install transmission-daemon sudo gedit /etc/transmission-daemon/settin..
**우분투10.10 기준 GUI 방식 파티션 편집기: gparted 자동 마운트(Storage Device Manager): pysdm 프로그램 ->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에서 검색해서 설치하거나 터미널에서 sudo apt-get install [프로그램명] 입력해서 설치 ---------------------------------------------------------------------------------------------------------------------------- 터미널 입력 방식 1. 마운트 위치로 사용할 폴더를 만든다. 2. 마운트할 장치의 UUID를 알아낸다. blkid 사용 3. fstab 에서 해당 구문을 추가한다. 하단 예 참고 4. fstab 내용은 부팅시에 적..
원문 출처:: http://khunter.zzlzzl.net/279 쉽게 파티션을 조절 하려면 Ubuntu 상에서는 gparted 를, Kubuntu 상에서는 qtparted 를 실행하면 그래픽으로 아주 쉽게 파티션을 조절 할수 있다. 파티션 매직에서는 ext3 파티션을 건드리면 매우 불안정 하지만 gparted 에서는 깔끔하게 동작한다. gparted의 화면. 공식 홈페이지 : http://gparted.sourceforge.net/ 시스템에 미리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엔 gparted 를 설치해야 하는데 설치는 간편하다. ~# apt-get install gparted 요 명령어면 끝이다. 하지만 서버에서 이걸 돌리려고 x-window 시스템에 갖가지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는건 삽질이다. 그리고 이런 ..
- 특정 데이타베이스 하나만을 백업 백업형식 : myslqdump -u DB계정명 -p 백업대상데이터베이스명 > 저장할파일명 복구형식 : mysql -u DB계정명 -p 복구할테이터베이스명 mysql.sql //mysql 디비 백업 예 # ./mysql -u root -p mysql < ./mysql.sql //mysql 디비 복구 예 // 위 백업결과물인 sql 파일은 디비를 생성하지는 않는다.. 다시말해 복구하려는 디비에 mysql이란 디비가 없다면 복구가 되지않는다.... 이점 유의 // 복구하려는 mysql 디비에 테이블이 이미 존재한다면 복구 실패... sql 파일에서 해당 디비의 테이블을 생성하므로.. 따라서 특정 데이..
FEAR(Flexible Embodied Agent aRchitecture)는 애니멋(반응형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만든 quake2에서 작동하는 인공지능 프레임 워크다. 소스포지 FEAR 프로젝트 페이지 http://sourceforge.net/projects/fear/ FEAR User Guide http://fear.sourceforge.net/docs/latest/guide/Guide.html 2008년 이후로는 활동이 없는것처럼 보인다. 인공지능 게임 프로그래밍에 대한 주제로 씌여진 인공지능 게임 프로그래밍 실전 가이드(Alex J. Champandard 저, 이강훈 역, 에이콘) 에서 언급된 것을 보고 알게되었다.
※ 머릿말 우분투를 사용하시면서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볼 줄 몰라서 답답해하시는 분들이 계실 거라 생각합니다. Ms윈도우에서 많은 시스템정보뷰어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SIW(System Info) 또는 SiSoftware Sandra 와 같은 유명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손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하여 이들 프로그램과 같이 자신의 시스템 정보를 자세하게 볼수 있으며 터미널과 X윈도 상에서 어떻게 볼 수 있기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 이 문서를 읽기 전에... 누구를 위한 글인가? 그 대상은? 우분투 리눅스를 데스크톱 용도로 사용하는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글입니다. 먼저 알아야 될 지식 터미널에 대한 기초 사용법과 우분투의 Gnome(윈도 매니저) 을 약간이나마 사용해보신 분들 입니다. ※..